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차이점 쉽게 외우는 꿀팁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차이점이 궁금하신가요? 청약을 넣을 때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면 알 수 없는 용어로 가득 차 있어서 답답함을 느끼셨을 텐데요. 이 글을 읽으시면 면적의 종류를 쉽게 구분하고, 면적을 평으로 쉽게 환산하는 방법까지 얻어가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 청약 중 높은 관심을 받았던 올림픽파크포레온 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통해서 설명할 예정이므로 더욱 쉽게 와 닿을 수 있을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입주자모집공고문을 직접 확인해보세요.

Table of Contents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전용면적-공급면적-분양면적
(이미지 확대하기)

아파트 면적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25평, 34평처럼 평형 단위로 이야기하는 것이 익숙합니다. 하지만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해보면 제곱미터(㎡)로 면적 단위가 표기되어 있어서 정확히 가늠이 안 될 때가 있는데요.

면적의 용어 정리에 앞서 제곱미터와 평 단위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1평 = 3.3058㎡
  • 1㎡ = 0.3025평

흔히 볼 수 있는 면적 59㎡와 84㎡는 각각 25평, 34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별히 계산한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112㎡, 129㎡, 178㎡ 등과 같이 더 큰 단위의 타입을 보면 몇 평인지 가늠이 되지 않을 때가 발생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59㎡와 84㎡와는 다르게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평」이라는 단어는 사실 한국과 일본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면적 단위로 일제강점기의 잔재입니다. 그러므로 제곱미터(㎡)로 변환해서 부르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는 평으로 집의 크기를 판단하는 게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제곱미터를 보고 곧바로 평으로 환산해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유용한데요. 예를 들어 59㎡는 59를 3.3으로 나누어 18평이라는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드는 분들이 분명 있을 것입니다. 「59㎡는 25평으로 알고 있는데, 왜 계산했을 때 18평밖에 되지 않을까?」라는 의문입니다.

위의 의문점과 더불어 모집공고문을 보면 면적과 관련해서 다양한 용어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택)공급면적, (주거)전용면적,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 계약면적 등 비슷하지만 다른 면적 단위들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면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 공급면적 또는 전용면적을 보고 5초 안에 평으로 환산하는 방법까지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용면적

전용면적의 정식 명칭은 주거전용면적으로 편하게 전용면적이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모집공고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59㎡, 84㎡ 등은 전용면적에 해당합니다.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우리가 주로 생활하는 공간으로 세대별로 독립되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각 세대에 전유 되는 부분으로 등기되는 면적이기도 하고, 신발을 신지 않고 돌아다닐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집 내부 크기는 결국 전용면적이 결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집 크기를 가늠할 때는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옳습니다.

전용면적

공용면적

2세대 이상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아파트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의 면적을 말합니다.

 

기타 공용면적

아파트 단지 내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관리사무소, 노인정, 지하주차장, 커뮤니티센터, 기계실, 설비실 등의 면적을 말합니다.

기타 공용면적이 너무 작으면 단지 내 커뮤니티 등 시설이 부족하여 생활 편의 수준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약면적

주택공급면적과 기타 공용면적을 모두 합한 면적을 말합니다.

 

공급면적

전용면적과 주거 공용면적을 합한 면적으로 분양면적이라고도 합니다. 평당 분양가를 계산할 때 공급면적을 활용하여 계산합니다. 집 전체의 크기나 구조를 가늠할 때는 우리에게 아직 평 단위가 익숙하여서 입주자모집공고를 통해 공급면적을 확인하고 평으로 환산하여 생각하면 편합니다.

 

가끔 전용면적은 같은데 평수가 다른 경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전용면적은 같은 84㎡이지만 평수는 32~36평으로 다양한 것을 볼 때도 있습니다. 같은 아파트 기준으로 공용면적 한두 평 다른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전용면적이 84㎡로 같다는 것은 공용면적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주거하는 면적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차이점은 어느 정도 이해가 되셨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서비스면적

서비스면적은 제공되는 면적 외의 무상 공간을 의미하는데, 발코니 면적을 의미하며 분양하는 단지에 따라 전용 84㎡ 기준 5~10평 정도 공급되기 때문에 발코니 확장을 필수적으로 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추가로, 천장고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2.3m 수준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본 2.4m 이상 층고를 제공하는 아파트도 있고, 1층 같은 저층 세대에만 높은 층고를 제공하는 때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천장고가 높으면 시각적으로 쾌적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면적

분양면적(공급면적) 계약면적 크기

단위 ㎡
평면유형세대별 주택공급면적
공급면적 (A)그 밖의 공급면적 (B)계약면적
(A+B)
전용면적공용면적 기타 공용면적(지하주차장 등)
59A85.2859.9925.2956.84142.12
59B85.3859.9825.4056.83142.21
59C85.4759.9625.5156.81142.28

위 표는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자모집공고문 일부입니다. 실제 입주자모집공고문을 참고하여 분양면적(공급면적), 전용면적, 계약면적 크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중 분양면적과 공급면적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분양면적(공급면적)전용면적계약면적
81㎡(약 25평)59㎡(약 18평)133㎡(약 40평)
114㎡(약 34평)84㎡(약 25평)188㎡(약 56평)
148㎡(약 45평)112㎡(약 34평)249㎡(약 75평)
172㎡(약 52평)129㎡(약 39평)288㎡(약 87평)
전용면적-공급면적-분양면적-계약면적

 

공급면적 평 환산 방법

공급면적 일의 자리 숫자를 반올림한 후 일의 자리 숫자를 제거해주세요. 그리고 남은 숫자에 곱하기 3을 하면 대략 공급면적의 평 환산이 가능해집니다.

  • 81㎡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8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8 → × 3 = 24(평)
  • 114㎡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1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11 → × 3 = 33(평)
  • 148㎡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5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15 → × 3 = 45(평)
  • 172㎡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7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17 → × 3 = 51(평)

 

전용면적 평 환산 방법

전용면적의 일의 자리 숫자를 반올림한 후 일의 자리 숫자를 제거해주세요. 그리고 남은 숫자에 곱하기 3을 하면 대략 전용면적의 평 환산이 가능해집니다.

  • 59㎡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6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6 → × 3 = 18(평)
  • 84㎡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8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8 → × 3 = 24(평)
  • 112㎡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1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11 → × 3 = 33(평)
  • 129㎡ →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30 → 일의 자리 숫자를 버리면 13 → × 3 = 39(평)

지금까지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차이점과 추가적인 면적 단위에 대해 알아보고, 분양면적(공급면적) 계약면적 크기를 비교해보며 공급면적을 평으로, 전용면적을 평으로 환산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더이상 다양한 면적을 잘못 사용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고,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을 보자마자 평으로 환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보시기를 추천해 드립니다.

Leave a Comment